요즘 20~30대 청년들 사이에서 가장 뜨거운 재테크 상품 중 하나는 바로 ‘청년도약계좌’입니다.
정부가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만든 상품으로, 적은 돈을 저축해도 정부 지원으로 최대 5,000만 원까지 목돈을 만들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합니다. 이번에는 청년도약계좌의 조건, 혜택, 신청방법, 주의사항까지 모두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✅ 청년도약계좌란?
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2023년부터 도입한 자산형성 지원 제도로, 청년들이 5년간 꾸준히 저축하면 정부 기여금과 이자를 더해 최대 5,000만 원까지 수령할 수 있는 고금리 저축 상품입니다.
✅ 가입 조건 (2025년 기준)
청년도약계좌는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건 아니고, 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해요.
- 나이: 만 19세 ~ 34세
- 개인소득: 총급여 7,500만 원 이하 (종합소득금액 6,300만 원 이하)
- 가구소득: 중위소득 180% 이하
- 근로자 또는 사업자: 근로 중이거나 사업을 영위 중인 청년
- 기타 조건: 본인 명의 금융채무 연체 없을 것
※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은 소득 기준과 상관없이 가입 가능
💡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?
가입자의 소득이나 가입은행, 우대 금리 여부에 따라 다르지만, 시중은행 가입으로 기본금리 4.5%, 우대금리를 최대한 받고 매월 본인 납입과 기본 금리가 만기시까지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예상되는 수령액은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.
총급여 기준 | 납입액 | 정부기여금 | 납입금액 이자 | 기여금 이자 | 총 수령액 |
2,400만원 이하 | 4,200만원 | 144만원 | 640만원 | 16만원 | 5,000만원 |
3,600만원 이하 | 138만원 | 587만원 | 15만원 | 4,938만원 | |
4,800만원 이하 | 132만원 | 14만원 | 4,931만원 | ||
6,000만원 이하 | 126만원 | 13만원 | 4,924만원 | ||
7,500만원 이하 | - | - | 4,787만원 |
※ 실제 수령액은 납입 여부 및 이자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.
🏦 청년도약계좌 신청 가능한 은행
2025년 현재, 청년도약계좌는 아래 주요 은행에서 신청할 수 있어요.
- 국민은행 (KB)
- 신한은행
- 하나은행
- 우리은행
- NH농협은행
- IBK기업은행
- 카카오뱅크 (일부 조건만 허용)
👉 각 은행마다 이자율, 부가혜택, 이벤트가 다르므로 꼼꼼히 비교 후 선택하는 게 중요해요.
📝 신청 방법
- 자격 확인: 청년희망적금 전용 홈페이지 또는 은행 앱에서 소득 요건 자동 조회
- 가입 신청: 조건 확인 후, 선택한 은행 모바일 앱 또는 지점에서 계좌 개설
- 납입 시작: 월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 가능. 자동이체 설정 추천!
- 연 1회 소득 재검토: 정부 지원액이 소득 변화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
⚠️ 청년도약계좌 주의사항
- 중도해지 시 정부 기여금 지급 불가: 5년 유지해야 최대 혜택 가능
- 연체 또는 납입 중단 주의: 정부지원 조건에 불이익 발생할 수 있음
- 소득 상승 시 지원금 감소: 매년 소득 재검토로 지원금이 줄어들 수 있음
📌 청년도약계좌는 누구에게 좋을까?
- 꾸준히 일하며 목돈을 모으고 싶은 청년
- 연소득이 높지 않은 사회 초년생
- 자산 형성이 필요한 20~30대 근로자
- 다른 청년통장(희망적금 등)과 중복 불가능한 경우, 가장 효율적
🎓 대학생도 청년도약계좌 가입 가능할까?
대학생이라도 아래 4가지 조건을 충족하면 가입 가능해요:
- 만 19세~34세 사이일 것
→ 대학생 연령 대부분 해당됨 - 근로 중이거나 사업을 하고 있을 것
→ 알바, 인턴, 프리랜서, 사업자 등록된 활동 등 수입이 있어야 가능 - 개인소득이 7,500만 원 이하일 것
→ 대부분 대학생은 해당 - 가구소득이 중위소득 180% 이하일 것
→ 부모님의 소득에 따라 달라짐
🔍 대학생이 실제로 가입하려면?
- 아르바이트를 한 적이 있어야 해요.
(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이 있어야 신청이 가능해요.) - 국세청에 소득이 신고되어 있어야 해요.
→ 연말정산, 종합소득세 신고 등으로 확인 가능 - 가구소득은 부모님의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산정돼요.
→ 부모님 소득이 높으면 가구 조건에서 탈락할 수도 있어요.
💡 예시로 쉽게 설명하면…
유형 | 가입 가능 여부 |
23세 대학생, 아르바이트 월 70만 원, 부모님 소득 낮음 | ✅ 가능 |
22세 대학생, 무소득 | ❌ 불가능 (근로 또는 사업소득 필요) |
24세 대학생, 인턴 중, 부모님 고소득 | ❌ 가구소득 초과 시 불가 가능성 |
대학생이라면 이것도 고려해보세요!
- 만약 근로소득이 없어서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어렵다면,
→ 청년희망적금, 대학생 장학금, 국가근로장학금 등의 대안도 함께 고려해볼 수 있어요.
✅ 마무리: 2025년, 재테크는 청년도약계좌부터!
정부가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만큼, 신뢰도와 수익성이 높은 상품입니다.
특히 매달 10~40만 원까지 정부가 ‘내 돈처럼’ 넣어주는 구조이기 때문에, 포기하지 않고 5년만 유지하면 목돈 마련의 지름길이 될 수 있습니다. 아직 신청 안 하셨다면, 지금 바로 은행 앱에서 자격을 확인해 보세요.
'경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상북도, 산불 피해 주민 27만 명에 1인당 30만 원 긴급지원 (0) | 2025.03.29 |
---|---|
해외주식 양도소득 확정신고 방법 총정리 (+2025년 최신) (0) | 2025.03.27 |
2025년 3월 고금리 적금 BEST 5 (+ 최대 7% 이자 적금 ) (0) | 2025.03.27 |
2025년 장병 내일준비적금 군별 정리( + 군적금 계산기 ) (0) | 2025.03.26 |
2025년 주택연금, 가입 조건부터 수령 금액까지 알아보아요. (0) | 2025.03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