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경제 정보

2025년 장병 내일준비적금 군별 정리( + 군적금 계산기 )

by skclsite 2025. 3. 26.
반응형

장병 내일준비적금

 

2025년부터 장병 내일준비적금(군적금) 제도가 크게 바뀌었습니다.
이제는 본인이 저축한 금액만큼 정부가 1:1로 매칭지원금을 주기 때문에, 복무 기간 동안 최대 2천만 원 이상의 목돈을 만들 수 있어요.

이번에는 육군, 해군, 공군, 사회복무요원(공익) 각각의 복무 기간에 맞춰 얼마나 적립할 수 있는지 쉽게 정리해볼게요.

 

✅ 제도 요약 (2025년 기준)

  • 매칭 지원비율: 본인 납입액의 100% (1:1 지원)
  • 월 납입 한도: 55만 원
  • 총 적립 한도: 정부 매칭 포함 월 110만 원까지
  • 이자소득세: 비과세
  • 가입 대상: 육군, 해군, 공군, 해병대, 상근예비역, 사회복무요원 등
 

🪖 육군 (복무 기간 약 18개월)

  • 적립 기간: 약 18개월
  • 월 납입: 55만 원
  • 본인 납입 총액: 990만 원
  • 정부 지원금: 990만 원
  • 총 적립금:1,980만 원 + 이자

💬 전역 시 2,000만 원에 가까운 목돈 확보 가능!
💡 팁: 입대 초기 최대한 빨리 가입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
 

 

 
 

⚓ 해군 (복무 기간 약 20개월)

  • 적립 기간: 약 20개월
  • 본인 납입 총액: 1,100만 원
  • 정부 지원금: 1,100만 원
  • 총 적립금:2,200만 원 + 이자

💬 육군보다 2개월 더 복무하므로 200만 원 정도 더 적립 가능!

 

✈️ 공군 (복무 기간 약 21개월)

  • 본인 납입 총액: 1,155만 원
  • 정부 지원금: 1,155만 원
  • 총 적립금:2,310만 원 + 이자

💬 복무기간 가장 길어 최대 수령액이 가장 큽니다.
공군 복무 중엔 생활비를 제외한 나머지를 군적금으로 알차게 모으는 것이 핵심!

 

🧾 사회복무요원 (공익근무요원)

🧾 사회복무요원 (공익근무요원)

  • 복무 기간: 약 21개월
  • 군적금 가입 가능: 가능 (2023년부터 대상에 포함됨)
  • 적립 조건: 근무기관과 은행 연계 여부에 따라 실제 가입 가능 여부가 다를 수 있음
  • 총 적립금: 공군과 유사, 약 2,310만 원 + 이자

💬 공익도 가입 가능하다는 점, 많이들 모르시더라고요!
은행 지점 방문 없이도 앱으로 신청 가능하니 꼭 확인하세요.

 

🔍 꼭 확인할 팁

  1. 입대 직후 빠르게 가입하는 것이 이득!
  2. 중도 해지 시 정부지원금 일부 회수될 수 있음
  3. 복무 중 월급 일부를 자동이체로 지정하는 게 편함
  4. 전역 후 청년도약계좌 등으로 연계하면 자산 관리에 유리함

✅ 마무리 한마디

2025년부터 군적금은 사실상 1+1 저축 상품이 되었습니다.
군생활 중 소비를 줄이고 저축만 잘해도 전역 후 2000만 원 이상의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절호의 기회죠.

자신의 복무 기간생활비 계획을 잘 조정해서 군적금 혜택을 100% 활용해보세요!

반응형